건칠불乾漆佛
'건칠불'은 삼베 위에 옻을 두껍게 발라 만든 불상으로, 흙이나 나무로 만든 틀에 삼베를 옻칠을 이용해 여러 번 접착한 뒤 틀을 빼내어 제작한다. 이 제작 방법을 '건칠기법'이라 한다.
사실 '건칠(乾漆)'은 일본에서 쓰이는 용어로, 우리나라에서는 송나라 때에 불상 제작 기법이 한반도에 전래되면서 중국식 명칭인 ‘협저(夾紵)’로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나 우리나라 문헌에는 주로 ‘칠포(柒布, 漆布)’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식 명칭인 ‘건칠’이 자리 잡은 것은 근대 이후 부터이며, 현재는 건칠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소장 중인 건칠불은 20여점으로, 그 정도가 많지 않아 건칠불 자체만으로도 불교조각사에서 희소한 가치를 지닌다. 현재 가장 오래된 건칠불은 신라 말~고려 초 제작으로 추정되는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이다.
우리나라의 건칠불은 내부가 완전히 비었고 내부의 소조성형에서 거의 완전한 형태를 만들어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하는 고난도의 기술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A GeonchilBuddha statue is made by applying a thick layer of lacquer on top of hemp. After attaching hemp cloth to a frame made of soil or wood several times using lacquer, the frame is removed. This production method is called the 'Geonchil technique'.
In fact, "Geonchil (乾漆)" is a term used in Japan, and in Korea, it is said that the Buddha statue making technique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Song Dynasty and came into the Chinese name "Hyeop-jeo (夾紵)" but it is mainly recorded as "Chilpo (柒布, 漆布)" in Korean literature. The Japanese name "Geonchil" has been established since modern times, and the term "Geonchil" has been mainly used now.
There are about 20 pieces of Geonchilbul in Korea, and there are not many of them, so Geonchilbul itself has a rare value in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s. Currently, the oldest Geonchilbul is the "Bonghwa Cheongryangsa Geonchil Yaksa Yeorae statue," which is estimated to have been produced from the late Silla to early Goryeo.
Korea's Geonchilbul is completely empty inside and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high-level technology that requires more effort and time by making a nearly complete shape from the inner small molding.